전체 글 (53) 썸네일형 리스트형 packet [ 패킷 ] 패킷이란?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기 쉽도록 자른 데이터의 전송 단위이다. # 쉽게 말해 하나의 데이터 묶음이다. #OSI 7계층에서 3계층 이상에서 이 데이터 묶음을 패킷이라 부르며, 2계층에서는 프레임이라고 부른다. 패킷분석 wireshark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패킷을 분석하려고 한다. [ wireshark_download_link ] 일단 들어가면 다음과 같은 화면일 것이다. ( open에는 아무것도 없는 것이 정상이니 당황하지 말자 ) 이렇게 wireshark를 실행했다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해석할 패킷일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가진 패킷이 없기 때문에 나돌아다니는 패킷을 잡아서 간단히 분석해볼 것이다. 나돌아다니는 패킷은 Capture목록의 Wi-Fi를 더블클릭하면 새로운 화면으로 이동하는데 .. Protocol 통신 프로토콜의 개념 - 프로토콜이란 ? 장치 사이에 정보를 주고받기 위해 정해놓은 규칙이다, 프로토콜이 없다면 장치간 통신은 불가능하다. -프로토콜의 종류 프로토콜의 종류로는 우리가 자주쓰는 HTTP, HTTPS나 FTP, SSL, ARP, TCP/IP, telnet 등이 있다. -프로토콜의 기본 요소 구문 ( Syntax ), 의미 ( Semantics ), 타이밍 ( Timing ) 1. 구문 Syntax 주고받는 데이터를 어떤 스펙으로, 부호화 할것이며 신호의 레벨은 어떻게 할 것인가 2. 의미 Semantics 교화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정보를 송수신하는 기본 3. 타이밍 Timing 메시지를 전달하는 속도나 순서는 어떻게 고려 할 것인가? 프로토콜의 기능 주소 지정 ( Addres.. Network_Basic -Network Basic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란? 우선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등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해주는 환경이다. 간단히 말하면 어떠한 기기들끼리 연결하여 정보를 공유하는 것을 말한다. 우리가 평소 생활속에서 쓰는 네트워크들은 좋은 것과 안 좋은것으로 나눠본다고 하면 '좋은' 네트워크의 기준은 성능, 신뢰성, 보안 이렇게 3가지로 나뉜다. 성능은 이용하는 네트워크가 얼마나 빠른속도로 정보를 처리할수 있는지를 말하고 신뢰성은 사용하는 네트워크의 에러가 자주 일어나는가, 일어난 에러가 얼마나 심각한 에러인가를 말하고 보안은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해당 네트워크가 얼마나 안전한가이다. 요즘은 성능을 중시하고 있는 편이다. .. 네트워크_교육내용_1 -network basic 컴퓨터 네트워크란? 컴퓨터, 휴대폰, 태블릿 등의 장치들을 서로 연결해 정보를 주고받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환경 '좋은' 네트워크의 기준 성능, 신뢰성, 보안 성능 : 빠른 송수신 속도 신뢰성 : 장애가 자주 발생하지 않는지, 쉽게 파괴당하지 않는지 보안 :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한지, 정보가 새거나 잘못 전달되지 않는 것 컴퓨터 네트워크의 구성요소 - 송신자 sender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 - 수신자 reciver 데이터를 받는 장치 - 전송 매체 medium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선 tip. '매'가 들어가는 것은 전달되는 것을 뜻한다, - 메시지 message 그림, 텍스트, 소리 등 주고받는 데이터 - 프로토콜 Protocol 송신자와 수.. [ pwnable.kr ] fd 문제풀이 pwnable.kr에 들어가면 pwnable.kr의 첫 계단인 fd문제를 마주하게 된다. 문제의 이미지를 클릭하면 아이의 천진난만(?)한 질문과 함께 문제를 풀기 위해서 어떤 방식으로 접속하는지, 어떻게 푸는지 힌트를 제공해준다. putty라는 프로그램으로도 문제 서버에 접속할 수도 있지만 나는 linux환경인 kali나 ubuntu의 터미널에 접속했다. 접속한 뒤 ls -l로 어떤 파일이 있는가 확인해 보니 setuid가 걸려있는 파일이 있었다. ( root권한에서 실행권한이 x대신 s가 되었기 때문 ) # setuid가 걸려있기 때문에 저 파일을 이용해서 권한을 얻어 flag를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fd.c파일을 cat을 이용해서 읽어보면 fd의 소스코드를 알 수 있다. 그런 뒤 .. 이전 1 ··· 4 5 6 7 다음